진료시간안내

  • 평일 10:00~19:00
  • 점심 시간 13:00~14:00
  • 토요일 휴진
  • 일요일 휴진

*선릉역 1번 출구 금강타워 5층

02-563-6661


건강강좌

홈으로_ 커뮤니티_ 건강강좌

제목

청소년 ‘자해 응급환자’ 늘린…미디어 콘텐츠의 정체는?

청소년기는 자아를 형성해 가는 과정에서 정서적 어려움을 겪으며 주변 환경에 휘둘리기 쉽다. 가족, 친구는 물론 미디어에 가장 큰 영향을 받는 시기가 바로 청소년기다. 그런데 최근 미디어 속 자해 콘텐츠에 노출되면 실제 행동으로 옮길 위험이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에, 청소년의 올바른 미디어 이용 및 사회적 고민·노력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출처: 서울아산병원

미디어 속 자해 콘텐츠…청소년에 전염된다서울아산병원 소아정신건강의학과 김효원·이태엽, 융합의학과 김남국 교수팀은 2018년 3월, 청소년 대상의 방송 프로그램에서 자해를 다룬 콘텐츠가 방영된 후 청소년 사이에서 자해로 인한 응급실 방문이 유의미하게 늘었다고 밝혔다. 이는 국가응급환자 진료망을 이용해 2015년 1월부터 2018년 12월 사이 응급실을 방문한 환자 가운데 자해(자살 시도 및 비자살적 자해)로 인한 환자 11만 5,647명의 데이터를 수집·분석해 얻은 결과다.연구팀은 월평균 자해로 인한 응급실 방문자 수를 분석한 결과, 자해 콘텐츠가 방영되기 전(2018년 2월~3월)과 방영된 후(2018년 4월~12월) 차이가 확연히 드러났다고 밝혔다. 월별 인구 10만 명당 자해로 인한 응급실 방문자 수가 △10~14세는 0.9→3.1명 △15~19세는 5.7→10.8명 △15~19세는 7.3→11.0명으로 증가한 것. 이 가운데 15~19세 여성과 20~24세 남성에서 증가세가 유독 큰 것으로 나타났다.연구팀이 분석 기준으로 삼은 자해 콘텐츠가 방영된 시점은 2018년 3월 말경으로, 이는 당시 청소년을 주 시청층으로 하는 방송 프로그램임에도, 자해를 미화하고 정당화하는 내용이 소개돼 청소년 사이에서 화제를 모은 바 있다.연도별로도 차이가 두드러졌다. 연간 자해로 인한 응급실 방문자 수는 10~14세의 경우 2015년 인구 10만 명당 8.1명에서 2018년 31.1명으로 증가했다. 같은 기간 15~19세는 63.5→119.0명으로, 20~24세는 75.7→127.1명으로 늘었다. 이로써 연구팀은 자해 콘텐츠가 방영됐던 2018년에 들어 자해 시도가 확연히 증가한 사실을 확인했다.여성 청소년의 자해도 눈에 띄게 증가했다. 자해로 인해 응급실을 방문한 10~14세 청소년 가운데 여성은 2015년 46.6%를 차지했던 데 비해 자해 콘텐츠가 방영된 2018년에는 76.7%로 증가했다. 같은 기간 15~19세에서는 여성 비율이 55.8%에서 67.8%로, 20~24세는 55.7%에서 61.9%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김효원 서울아산병원 소아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미디어 속 자해 콘텐츠는 청소년기 아이들에게 ‘자해는 해도 되는 것’ 혹은 ‘자해는 멋있는 것’이라는 메시지를 전달하고, 심리적 어려움을 해결하는 방법으로써 자해를 다수의 청소년에게 알린 효과가 있다. 미디어에서 표현의 자유는 존중돼야 하지만 미디어가 청소년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사회적 고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김남국 서울아산병원 융합의학과 교수는 “이번 연구는 청소년처럼 미디어 자극에 영향을 많이 받는 집단에 대해서 전국 응급실 방문 데이터를 분석해 돌발성 자극의 영향을 확인한 데 의미가 있다. 앞으로도 관련 연구를 지속해 우리 사회의 다양한 돌발성 자극과 이에 민감한 사회 계층을 사전에 찾아내고 돌발성 자극이 주는 영향을 줄여나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이번 연구 결과는 미국소아정신과학회가 발간하는 국제 학술지 ‘미국 소아청소년 정신의학회지(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최근호에 게재됐다.

우울감을 느끼는 청소년이 늘고 있다|출처: 게티이미지뱅크

우울감 느끼는 청소년 증가…따뜻한 관심 필요해지난 4월 교육부와 질병관리청이 발표한 ‘학생 건강검사 및 청소년건강행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2022년 우울감경험률은 남학생 24.2%, 여학생 33.5%로, 2021년 대비 증가(남 1.8%p↑, 여 2.1%p↑)했다. 1년간 2주 내내 일상생활을 중단할 정도로 슬프거나 절망감을 경험한 학생이 무려 약 30%에 달한다는 의미다. 또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2017년 대비 2021년, 우울증 환자수는 △10대 90.2% △10대 미만 70.2%로 대폭 증가했으며, 불안장애 환자수 역시 △10대 78.5% △10대 미만 57.8%로 크게 늘었다.마음이 편하지 않고 우울한 청소년이 늘고 있는 지금, '따뜻한 관심'이 어느 때보다 중요한 시점이다. 주위에 힘들어하는 청소년이 있다면 전문적인 치료 또는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우울증은 증상 초기에 주변인이나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 우울감 등 말하기 어려운 고민이 있거나 주변에 이런 어려움을 겪는 가족?지인이 있는 경우 자살예방 상담전화 ☎1393, 정신건강 상담전화 ☎1577-0199, 희망의 전화 ☎129, 생명의 전화 ☎1588-9191, 청소년 전화 ☎1388 등에서 24시간 전문가의 상담을 받을 수 있다.

     
이전사진보기
병원시설병원시설
  • 병원시설
  • 병원시설
  • 병원시설
  • 병원시설
  • 병원시설
  • 병원시설
  • 병원시설
  • 병원시설
  • 다음사진보기